자유로운포스팅/부동산 이모저모 100

2021년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및 주택 수 계산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세 및 주택수 계산 양도소득세에서 중과세율을 적용하는 경우 다주택자 중과세는 조정지역 내 주택을 매매시에만 적용되고, 조정대상지역 외에 있는 주택을 매매시에는 중과세율이 미적용 되는데요 익산은 조정대상지역에 해당되지 않지만 바로 인접해있는 전주가 조정지역으로 묶이면서 전주에 주택이 있고, 다주택자이면서 처분계획이 있으시다면 취득세나 양도소득세 등 세금부분을 민감하게 살펴보셔야 할텐데요, 현재 다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내에 있는 주택을 매매하는 경우에 2주택자는 기본 세율+10%, 3주택 이상자는 기본세율+20%,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2021년 6월 1일 이후부터는 다주택자가 조정지역내 주택 매매시 2주택자는 기본세율 + 20%, 3주택자는 기본세율 + 30%로 변경..

전세보증보험, SGI서울보증, HUG주택도시보증공사, HF한국주택금융공사

내일 익산 날씨는 비소식이 예고되어 있는데요 따듯한 햇살이 가득한 봄날도 좋지만 봄비가 내리는 것도 기대가 되네요, 전세보증보험이란 전세 계약 종료시 전세금을 받은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반환하여야 하는 전세보증금의 반환을 책임지는 보증상품입니다 전세 만기로 보증금을 돌려받을 때, 혹은 전셋집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전세보증금을 집주인 대신 돌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전세금 반환보증보험 취급기관으로는 SGI서울보증, HUG주택도시보증공사, HF한국주택금융공사 세 곳이 대표적입니다 SGI(서울보증) - 전세금보장신용보험(보험상품) HUG(주택도시보증공사)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HF(한국주택금융공사)- HF > 전세지킴보증(보증상품) 구 분 SGI(서울보증) HUG(주택도시보증공사) HF(한국주택금융공사..

2021년 달라지는 부동산 관련제도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청약 등

2021년 달라지는 부동산 관련제도 (세금, 청약 등) 2021년 부터 부동산 관련 제도가 세금이나 청약 등 많은 부분에서 달라지는데요, 미리미리 체크를 해두어야 할 듯 싶어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최고세율이 올라가고 조정대상지역 2주택 또는 비조정지역이라도 3주택이상이면 최고 3%의 종부세율이 적용될 수 있어요 2주택 이하 3주택 이상 혹은 조정지역 2주택 이상 과세표준 현행 % 개인 % 법인 % 현행 % 개인 % 법인 % 3억원 이하 0.5 0.6 3 % 0.6 1.2 6 % 3~6억원이하 0.7 0.8 0.9 1.6 6~12억원 1.0 1.2 1.3 2.2 12~50억원 1.4 1.6 1.8 3.6 50~94억원 2.0 2.2 2.5 5.0 94억원 초과 2.7 3.0 3.2 6.0 2021년에는 1..

2021년 아파트 주택 분양권 양도소득세율 주요 변경 내용 알아봤어요

~양도소득세란 토지나 건물과 같은 부동산이나 분양권, 골프회원권, 주식등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1주택의 소유자가 2년 보유(비조정지역 기준)한 집을 매도시 양도소득세는 비과세 되는데요, 이때, 1주택을 매도하고 새로운 집으로 이사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2주택자가 됐다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주택을 일정기간 안에 양도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습니다 2021년 부터는 주택과 아파트를 제외하고 양도소득세 계산시 분양권도 주택수에 산정되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현재 주택과 분양권 하나씩 가지고 있다면 1주택자이지만 2021년 1월에 분양권을 취득하면 1주택자라 하더라도 1주택 + 1분양권 하여 2주택자가 됩니다. 일시적 1가구 2주택자라면 조금 더 복잡해지겠지요.. 1주택 + 1..

일시적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조건 알아봅니다

일시적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주택(아파트) 양도소득세는 매매를 하면서 발생하는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입니다 (매매시 가액 - 취득시 가액)의 차이가 없다면 양도소득세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매매시 가액 - 취득시 가액)의 차이가 있다면 세금(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 하는데요 양도차익이 발생하여 세금을 내야하지만 양도소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는 몇가지 조건들이 있습니다 1가구 1주택자가 2년이상 보유(조정지역: 거주) 하고 매매를 하였을때는 양도차익이 발생해도 양도소득세에 대하여 비과세가 됩니다 여기(양도소득세 기준)에서 말하는 1가구란? 주민등록상 한 주소지의 모든 세대원을 포함한 세대를 말합니다 주민등록등본을 발급하였을때, 조부모 + 부모 + 자녀 이렇게 거주를 한다고 보면, 이 분들 모두를 합하여..

분양권 취득세 / 주택수는 입주시점이 아니라 취득시점

이번에 바뀐 710부동산 대책으로 분양권 취득시 취득세에 유의해야합니다 분양권의 취득세는 나중에 아파트가 완공되어 입주할때 발생이 되는데요. 이번에 법이 바뀌어 분양권 취득세 혼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비조정지역인 익산에서 자가주택 소유하신 분이 두번째 주택을 매수할때 주택가격에 따라 취득세는 1~3%입니다 세번째 주택을 매수할때야 취득세는 중과되어 8%인데요 710부동산대책에서 분양권의 취득세는 입주시점이 아니라 취득시점이 기준이 됩니다 아파트 2채(공시지가 1억 이상)를 보유 중 '2020.8.12 이후 분양권 취득시 분양회사와 계약할때 취득세는 없습니다 분양아파트가 준공되어 입주할때 취득세가 발생되는데요 이때 취득세는 어떻게 될까요? 3주택자가 됨으로 취득세는 8% 입니다 그러면 분양아파트 완공하기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이란 전세계약기간이 만료했음에도 불구하고 집주인(임대인)이 전세금을 반환하지 않을때나 기간이 늦어서 늦게 줄때 보증기관이 집주인(임대인)을 대신하여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대신 지급해주는 보험입니다 즉, 보증책임시기는 전세 계약 종료 후 임대인이 전세보증금을 반환할 수 없는 경우이고 보증책임내용은 임차인에 대한 전세보증금 반환을 책임지며 집주인의 동의가 필수인 전세자금대출과 달리 전세금반환보증보험은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아요 * 전세보증금을 못 받아서 이사를 가지 못할 것이 걱정되는 세입자 * 전세로 살고 있는 집이 경매로 넘어갈까 걱정되는 세입자 * 전세보증금 회수를 위한 법적조치를 취하는 것이 걱정되는 세입자 전세금반환보증보험 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와 서울보증보험(SGI..

익산 신축 아파트 동향(2014년~2020년 입주현황)

익산 신축 아파트 입주현황 입주날짜 기준 2014. 10. 익산 모현동 제일오투그란데 아파트 (총 739세대) 주거전용면적 84.75㎡ 661세대 / 107.90㎡ 78세대 2014.04 익산 송학동 포스코 더샵 아파트 (총 648세대) 주거전용면적 84A타입 258세대, 84B타입 266세대, 84C타입 38세대, 113㎡ 74세대 2014.08 익산 신동 금호어울림 아파트 (총 732세대) 주거전용면적 41.28㎡ 3세대 / 59.93㎡ 164세대 84.95A타입 154세대 84.98B타입 132세대 / 84.95C타입 196세대 / 154A㎡ 82세대 / 154B㎡ 1세대 2015.07 익산 어양동 이편한세상 아파트 (총 1200세대) 주거전용면적 59.99A타입 186세대 / 59.99B타입 14..

아파트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알아봤어요

아파트나 오피스텔 구입시, 혹은 청약시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계약면적 등을 보셨을텐데요. 등기부등본에 표시되는 면적이 전용면적, 건축물대장에는 전용면적과 공용면적 등이 나옵니다 먼저 전용면적은 현관문을 열고 사용할 수 있는 순수한 주거전용면적을 말합니다 자기 소유의 공간을 의미하는데요, 아파트의 경우 방, 거실, 주방, 화장실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아파트 청약시 분양회사에서 제시하는 전용면적이 주택형의 기준이 되며 등기부등본에 기재되어 세금이 부과되는 과세표준으로 쓰입니다 공급면적 =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공급면적은 전용면적과 주거공용면적을 합한 면적을 말합니다 아파트에서 발코니(베란다)면적은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신축 아파트 분양시 분양회사에서는 발코니를 확장하여 전용면적인 실사용 공간이 넓어..

계약갱신요구권, 전월세 상한제,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 Q & A

2020년 07월 30일 시행 - 주택임대차보호법이 개정되어 발표가 되었는데요, 아파트나 주택 임대차시 계약갱신요구권이나 전월세상한제가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하겠죠. 그래서 오늘은 2020년 7월 30일 시행된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내용을 살펴보려 합니다 계약갱신요구권, 전월세상한제, 전월세신고제를 묶어서 임대차 3법이라고 하는데요, 전월세 신고제는 관련 프로그램을 만들어야하니 내년에 시행예정이고,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상한제가 지금 시행중이예요. 전세나 월세를 임대로 놓으시는 임대인이나 전세나 월세를 임차로 들어가시는 임차인이나 서로 아셔야 하는 계약갱신요구권과 전월세상한제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 계약갱신요구권 ▶ 임차인 - 임대차 계약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요구할 수 있습니다(..